-
728x90반응형
문어는 왜인지 내가 조금 좋아하는 아이다.
어느 날, 미용실에서 머리를 볶아 놓은 적이 있다
또 다른 어느 날부터 팔 군데군데에 두드러기가 나기 시작했다
주변 사람들은 특징들을 종합해 나를 낙지 혹은 문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중요한 것은 그다지 놀림거리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냥 나를 가르키는 하나의 나처럼 생각되었다.
물론 지금은 두드러기도 잘 보이지 않고
머리카락도 짧아 전혀 외형에서 비슷한 느낌은 없지만.
근데 오늘 당직사관님 도대체 왜 나 문어 닮았다고 한겨,,
<어원>
문어
文 魚
글월 문 물고기 어 : 먹물을 이용하여 먹을 만들고 글을 쓸 수 있다하여 붙여졌다는 가설이 있다.
BBBBBut 상형문자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하네유,,,Octopus
octo = 8(eight) [라틴어]
pus = foot
즉, 여덟 개의 다리를 가진 생물을 뜻한다.
*낙지 쭈꾸미*
Small Octopus
Baby Octopus
たこ 타코 --------- たこ焼き 타코야끼 ㅎㅎ
<특징>
- 바다의 현자
- 문어는 사람을 알아본다.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을 구분할 줄 알고, 무척추동물 중 가장 복잡한 뇌를 가진다.
- 몸의 색을 바꿔가며 위장술을 한다. 근처 공간의 색, 패턴을 정확히 파악 후 변화하는데, 거의 변신에 가깝다.
- 치유능력
- 문어는 영양만 충전되면 곧바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 가끔가다 다리가 비정상적으로 많은 문어가 발견되는데, 손상입은 다리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과잉재생된 예시이다.
- 도망을 개 빠르게 갈 수 있겠다.
- 성격보유
- 착한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다 잇수다.
- 지적수준과 더불어 고려하면, 강아지 수준은 된다고 본다. 즉, 사육가능
문어선생님...
- 외형
- 크기 : 제각각이지만 보통 3m 정도이다. 종에 따라 3cm도 있고, 10m도 있다
- 눈 : 좋다 근데 이제 안좋음을 곁들인,,,근시여서 가까이 있는 것만 잘 보인다
- 빨판 : 1 ton도 들 수 있다는 계산. 이 빨판으로 맛도 느낄 수 있다
<삶>
아버지 문어에게는 빨판이 없는 세 번째 다리가 있는데,
이를 교접완이라고 한다
교접완을 이용하여 짝짓기를 한다
그 후로 아버지 문어는 몇 달이 지나면 돌아가신다.
어머니 문어는 아버지 문어에게 받은 정자주머니를
품고 있다가 4~6월에 조심스레 알들에게 세상을 보여준다
이 때, 2만 ~ 10만 명이 나온다
어머니 문어는 모두 다 잘 부화하길 기도하며
5~8달 동안 사냥활동도 거의 하지 않고 알을 돌보는데,
알들을 어루만져 깨끗하게 하고, 산소를 공급해준다.
마지막으로 알들이 부화하게 되면,
수관을 이용해 수면 위로
힘껏 불어주고
생을 마감한다.
*수관 : 먹물나오는 곳
아기 문어들은 해수면에서 위험한 표류를 시작한다.
1~3달 뒤면 아기 문어들은 친구들을 잃고
1%만이 남게 된다.
이 때의 몸길이는 약 10mm
아기문어들은 나이가 들수록 노는 물이 달라진다
점점 깊은 곳으로 들어가다가
3년 후면 몇몇은 몸무게 3kg를 달성한다.
더 이상 애가 아닌 어른 문어들은
주로 동굴에서 살고 밤사냥을 즐기고
낮이되면 집으로 귀가하는 인생을 산다.
게 새우 달팽이 물고기 등
나아가서 아기상어, 친구 문어까지 먹을 수 있다.
이렇게 양아치가 된 어른 문어들도 천적이 있다
바로 이 글을 쓰는 사람
물개 바다사자 상어 가오리 등
하지만 영리한 어른 문어는
자신의 다리 한 쪽을 스스로 떼어주고
위험에서 벗어나기도 한다.
평균 수명은 3~4년으로 매우 짧고,
이렇게 불쌍한 문어의 삶이
마무리 된다.
<특이점>
문어의 다리는 몇 개 인가. 정답은 0개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8개는 다리가 아닌 팔이다.
문어의 먹물에는 거의 독이 있다
사냥방식은 팔로 질식시키고 동시에 사냥감에게 독을 주입한다.
개체마다 자주 사용하는 팔이 있다
마치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처럼 말이다
문어는 심장이 3개이다
하나는 몸통에 산소를 공급하고, 나머지는 아가미, 팔에 피를 공급한다
암컷 문어는 크기가 큰 수컷 문어를 선호한다
-----(심화)
*문어의 피는 푸른색을 띤다*
사람은 혈액 속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이 있다.
헤모글로빈에 철이온으로 인하여 사람의 피는 붉은색을 띤다.
문어는 같은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헤모시아닌이 있는데,
헤모시아닌에 구리이온으로 인하여 푸른색을 띠게 된다.
구리 이온은 철 이온보다 산소 운반력이 부족해 효율은 ¼이지만
헤모시아닌은 온도가 낮아도 운반력이 크게 떨어지지 않아
저온의 바다에서 사는 생물에게 유리하다.
------
출처 - https://www.conteenew.com/bbs/board.php?bo_table=artwork&wr_id=4384&page=20 728x90반응형'움직이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닥터피쉬 - 닥터피쉭 (4) 2021.09.15 빨판상어 - 빨래상어 (2) 2021.09.14 투구게가 누구게 (3) 2021.09.12 매머드빵 (2) 2021.09.05 제비나비 - 나나비 (2) 202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