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군 할아버지 친구 해파리움직이는 2021. 11. 11. 23:42728x90반응형
어렴풋이 기억나는 죽지 않는 해파리
그 진실을 파헤쳐보고자
출동하게 되었다
해수욕장에서의
종아리 따귀는
좀 아팠다
[해파리]
투명한 우산 속 물이 가득찬 다리가 많은 생물이다
https://m.blog.naver.com/vpaula/100193420834 조선시대 정약전 선생님은
중국식으로 해타(海鮀)
라는 생물을 조선말로
해팔어(海八魚)라고 적었다
해파리는 손 대신 구완이 있는데
구완이 8개인 것을 보고
八을 넣었고 이 말이 변형되어
해파리가 되었다고 한다
(종에 따라 구완개수는 다릅니다)
jellyfish
젤리 몸의 물고기
<프로필>
크기는 종에따라
1mm부터 1m까지
음, 차이가 많이 난다
몸은 대체로 투명하고
몸 구조가 단순하다
단순한 정도가 아니라
뭐가 많이 없다
눈 코 입 귀 심장
다 없다
해파리의 구성
몸통 구완 촉수
<특징>
여러 기관이 없는 대신
몸에 빈 공간을 이용하여
소화 호흡을 한다
하지만 입도 없고
엉덩이도 없으니까
영양만 흡수한 후
들어간 곳에서 그대로 나온다
똥이 아니어서 더럽진 않구;;몸의 95%가 물이기에
물 밖에서는 액체괴물처럼
형태유지가 쉽지 않다
촉수가 대거 존재한다
촉수 옆에는 독침이 들어있는
화살모양의 자포가 있는데
수천 개의 자포로 상대를
마비시키고 양분을 흡수한다
이때 공격속도는 1/100초이다
해파리는 촉수를 구부렸다 피며
그 반작용을 이용해 이동한다
하지만 이는 매우 미미한 움직임이고
주로 그냥 바다에 몸을 맡기고
몸이 가는 대로 움직인다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분류)
이러한 특성 탓에
먹이활동은 사냥보단
기다림으로 승부하는
낚시에 가까울 수 있다
인간이 무섭든 아니든
해파리는 피하지 않기에
대다수가 해수욕장에서
수천 개의 자포로
1/100초 따귀를 맞는 것이다
해파리의 천적은
용치놀래기 바다거북
등으로 알려지지만
해파리를 먹는 생물은
해파리 대신 비닐을 먹어
멸종이 우려되기도 한다
환경오염제발멈추어
[작은보호탑해파리]
투리토프시스 누트리쿨라 젤리피쉬
스트레스 혹은 주변환경에 따라
우산이 뒤집히듯
몸통이 뒤집히고
촉수와 세포들이
몸안으로 흡수된다
결국은 세포덩어리에 이르게 되고
서서히 가라앉아 바위에 붙는다
영유아로 돌아가는 것이다.
출처 : pinterest * 폴립상태 : 원통 모양으로 위쪽 끝에 입이 있고 그 주위에 몇 개의 촉수가 있다
아래 사진 참고혀출처 : 동그람이 이렇게 작은보호탑해파리는
병들거나 잡아먹히지 않는다면
영생을 누릴 수 있다
아주 운이 좋다면
단군할아버지 친구분도
계실 수 있겠다.
해파리에 쏘았다면?
우선 물 밖으로 나오시고
바닷물로 세척을 하다가
약국에서 주는 연고를 바르렴
통증에는 냉찜질이 짱
planētes : 방랑자
플랑크톤의 어원이 되는
그리스어이다
어떤 때는 조류에 몸을 눕히고
가만히 흐르는 대로 가고 싶다.
출처 : bing image 728x90반응형'움직이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잃은 기린을 기리다 (2) 2021.11.27 물 속의 퍼피, 구피 (1) 2021.11.18 도마뱀인데 도마뱀닮은 도마뱀붙이 (1) 2021.11.08 살모사, 저는 폐륜아가 아닙니다 (1) 2021.11.03 나무타기캥거루, 캥거루가 나무에 산다고 (1) 2021.10.28